여군 사회적 의미
유사이래 군사조직, 인간사회가 행사할 수 있는 무력은 남성에게 편중되어 운용되었습니다. 총력전 개념이 도입된 양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여성의 전쟁에 대한 기여도가 극히 제한적이었으나 양차 대전에서 대량의 전투원이 전장으로 파병되고 그 빈자리를 여성의 노동력이 메꾸기 시작하면서 여성의 사회 진출 기반이 열리기도 하였습니다.
근대국가는 대부분 전쟁과 이를 수행한 군사조직의 지원을 바탕으로 수립되었으며 당장 대한민국만 해도 외부 군사세력이 독립을 결정한 것이나 다름없고 5.16 군사정변은 한국 사회의 현재 양상을 결정한 것이나 다름 없는 이벤트였습니다. 현재도 안정된 선진국 반열에 들지 못한 많은 중진국들은 군부가 나서서 특정 세력이나 사회체제를 지지하거나 때로는 뒤엎기도 합니다.
이런 현실에서 군사조직에 여성의 존재감이 적은 것은 남성 중심적인 사회체계가 지속 될 수 있는 원동력이었습니다. 만약 하나회의 구성원 중 30%만 여성이었어도 제5~6공화국에 걸쳐 요직을 독식했던 주요 인사들 중 상당수가 여성이었을 것입니다.
화기의 보급과 기계화의 영향으로 여성이 군에서 종사하는 범위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지금도 현재진행형으로 국지전을 수행중인 미군은 전투원까지 여군의 참여를 시험해보고 있지만 미국처럼 성평등 의식이 발전된 나라에서조차 체력 등의 문제로 인해 여군의 비율은 여전히 제한적입니다.
해군의 특성
세계적으로 해군은 서로 상반되는 순혈주의 기질과 코즈모폴리턴 기질을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함정 생활의 특수성 때문에 서로 공존 가능합니다. 순혈주의적 기질은 폐쇄된 환경에서 장기간 생활하기 위해서는 구성원간의 일체감이 중요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배경이 비슷한 인원들로 구성하기 때문입니다. 미 해군의 경우, 20세기 중반까지 장교들은 백인 위주였고 미국해군사관학교가 첫 흑인 장교를 배출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도 뒤인 1949년에서였습니다. 반면에 미 육군쪽인 웨스트포인트는 남북전쟁이 끝나자마자 흑인 사관생도를 받아들여 임관시켰습니다. 하지만 실제 근무에 있어 흑백인 사병들의 유대감은 제도적 차별이 큰 해군이 육군보다 더 높았습니다. 해군은 인종별로 부대가 나뉘어 있던 육군과 달리 좁은 함내에서 서로 부대끼는데다, 해군에서 흑인들이 많이 배치되는 직별인 조리의 경우, 일 자체도 빡세고 승조원들의 사기를 책임지는 만큼 대우가 육군에 비해 좋았기 때문입니다. 남북전쟁 시기에 흑백인을 같은 부대에 배치하지도 않고, 배치하더라도 서로 쳐다도 안 보던 육군과 달리, 해군은 흑백인 수병들이 어깨동무하고 사진을 찍는 모습까지 나타났습니다. 반면, 일본해군병학교는 일본육군사관학교가 조선인이나 대만인을 받아들인 것과 달리 본토의 일본인만을 받아들였고 1943년부터 해군병으로 조선인과 대만인을 뽑았지만 수상함이나 잠수함은 되도록 시키지 않고 육전대나 육상근무를 시켰습니다.
또한 일체감을 중시한 탓에 여군의 진입장벽이 높았습니다. 하지만 근대 이전부터 뱃사람 자체가 선원으로 여성을 태우는 것 자체를 기피하긴 했습니다.
AliExpress에서 여군 사용 설명서 구매하기!
여군 사용 설명서에 관심이 있으시면 사진을 클릭하여 자세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 주문을 완료하기 전에 잠시 시간을 내어 쿠폰을 검토하면 여군 사용 설명서 찾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훨씬 더 절약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주저하지 말고 AliExpress에서 좋아하는 제품을 구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