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의 종류
다이나믹 마이크
노래방이나 공연장에서 흔히 보이는 마이크입니다.소리(Sound Wave)가 진동판(Diaphragm)을 흔들면 코일(Coil)이 자석 주위에서 흔들리는데, 이 때 전기가 발생됩니다. 이런 간단한 구조 덕분에 모든 악기와 장비의 적인 습기에도 잘견디고, 충격에도 강합니다.하지만 이런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주파수에 제한이 있는데, 보통 가청 주파수가 20hz~20khz인걸 감안하면,10khz 이상 주파수는 반응이 약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소리가 나쁜것은 아니며, 오히려 이런 특징으로 음압이 쎈 타악기 계열을 레코딩 할 때는 다이나믹 마이크를 사용한다고 하지만 콘덴서마이크를 이용하는 사람도 있습니다.특징으로는 저렴하고 튼튼하며 내부의 코일이 일종의 발전기 역할을 하여 별도의 전원이 필요 없습니다.
콘덴서 마이크
다이나믹 마이크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중, 고음이 강하고 정교하며 섬세하지만, 소리크기에 대한 내구성이 약해서 주로 스튜디오 녹음용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48V', 일명 '팬텀파워 (Phantom Power)'가 필요합니다. 또한 'USB방식'도 있는데, 이 경우는 마이크 자체에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내장이 되어 있어서, 스탠드 얼론으로 사용 가능한 모델입니다. 컨덴서 마이크는 고감도를 위해 전극 사이(Front와 Back plate)를 좁혀 놓아서, 내구성이 약하고 습도에 민감합니다.이 때 공기의 진동이 진동판을 움직이게 되면, 두 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지거나 멀어지는데, 이 변화폭이 두 판사이의 전기량 차이가 됩니다. 이런 방식은 전기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응이 아주 빠르고 고음역대에 민감하게 됩니다. (진동에 민감).그래서 콘덴서 마이크를 구매 하면 여러가지 불필요한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보통 전용 쇼크 마운트
도 함께 들어 있습니다.콘덴서 마이크는 진동판의 크기에 따라 종류가 2가지로 나뉩니다.작은 다이어프램 (Small Diaphragm)을 가진 마이크는 보통 단일/무지향성 마이크 이고,큰 다이어프램 (Large Diaphragm)을 가진 마이크는 다양한 지향을 지원합니다.단일지향 콘덴서 마이크는 소리가 자연스럽고 수음 능력이 좋아서 보컬 녹음에 자주 사용되기도 합니다.
리본 마이크
리본 마이크는 콘덴서와 다이나믹 마이크의 중간 버전으로 보면 될것 같습니다. 작동원리는 다이나믹 마이크와 같습니다. 아래 그림 처럼 자석에 발생한 자기장에서 리본(진동판)이 움직이게 되고, 전기가 발생되는 원리죠.이 리본은 엄청 얇은 알루미늄재질로 되어 있는데, 그 무게가 매우 가벼워 빠른 속도로 소리에 반응합니다.일반 다이나믹 마이크와 달리 바람이나 충격에 민감해서 야외 녹음에는 부적합 하지만, 원리만 정확히 알고 있다면 라이브 공연때 사용하여 엄청난 사운드를 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