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트리에 대해
밴드명의 유래는 밴드가 결성될 무렵 타다시와 류타로가 인공물 한 가지와 자연물 한 가지를 더해 이름을 정하기로 했고 그 결과 'Plastic Tree'라는 이름이 나왔다고 합니다. 1993년도에 치바에서 결성해 1997년도에 메이저에 데뷔한 이래로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인디즈 시절부터 데뷔 초까지는 짙은 화장과 검고 어두운 의상의 밀실계의 비주얼계 밴드였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화장과 의상이 밝고 화려해진 편.
소년탐정 김전일의 8기 엔딩곡 "Sink"와 유희왕 5D's 5기 엔딩곡 "みらいいろ" 와 유리함대의 엔딩곡 을 불렀습니다.
2012년 3월에 네이버재팬에서 공식 어플리케이션을 출시했습니다. 프로필과 디스코그래피, 사진, PV 등을 볼 수 있고 멤버들로부터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카페기능으로 팬들 간의 소통도 가능합니다.
국내에서도 구글 플레이스토어를 통해 다운받을수 있었으나, 계약이 만료되어 현재는 검색해도 뜨지 않습니다.
공식 팬클럽의 이름은 'JellyFish Breed' 이며 팬들은 'くらげ(쿠라게-일본어로 '해파리)'로 불립니다. '
플라스틱 트리 음악성
Radiohead와 The Cure같은 얼터너티브 록, 포스트 펑크 계열의 음악을 영향을 상당히 받았다고 본인들이 주장했습니다. 초창기에는 이러한 경향성을 뚜렷하게 보이다가 메인 기타인 아키라의 작곡 참여 비중이 늘면서 그런지, 슈게이징과 같은 다양한 장르를 시도하며 가장 최근에는 드림 팝과 같은 가벼운 느낌의 몽환적인 곡이 주가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가사 표절의혹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밴드에서 거의 대부분의 곡의 작사를 담당하는 류타로가 본인이 즐겨읽는 책에서 발췌해 가사에 거의 그대로 베껴 넣었다는 것. 이 사건으로 팬들도 상당수 떨어져 나갔고, 원작자와 합의를 보았지만 소속사에서 퇴출되어 레이블을 이적하기도 했습니다. 게다가 이 사건을 계기로 거의 모든 곡을 작곡하던 타다시 역시 몇몇 곡이 너바나 등의 밴드의 곡에서 리프를 표절했다는 의심을 받기도 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거론된 것이 플라스틱 트리의 不純物과 Nirvana의 Smells Like Teen Spirit의 인트로.
하지만 해당 논란이 근원지가 2ch. 이란 점을 생각할 때, 표절 논란이 과하게 부풀려진 부분도 있다는 지적입니다. 하지만 사용하는 코드나 음악 스타일의 유사성만으로 표절을 성급하게 단정짓기엔 어려운 부분이 존재하기도. 더군나나 플라스틱 트리 같이 메이져 시장에서 음원을 유통하는 경우. 유명 프로듀서가 함께 음원 작업에 참여하기에, 표절에 대한 부분은 왠만하면 필터링이 되는 편이기에. 사실상 인터넷 상의 표절 논란은 과장된 측면이 많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실제로 플라스틱 트리의 경우, 카메다 세이지(2003~2004)나 아키시 마사오(2007~) 같은 유명 프로듀서가 공동 작업자로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의혹이 설득력 있다기엔 힘듭니다. 물론 해당 논란이 창작의 오리지널리티의 개념을 다시 재고할 만한 사건임은 분명합니다, 오마주와 표절 사이의 애매한 경계는 생각해볼 부분. 다행히 지금은 반성 후 그런 모습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AliExpress에서 플라스틱 트리 구매하기
플라스틱 트리에서 나온 배우 옷, 백, 구두 등에 관심이 있으시면 사진을 클릭하여 자세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 주문을 완료하기 전에 잠시 시간을 내어 쿠폰을 검토하면 플라스틱 트리 찾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훨씬 더 절약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주저하지 말고 AliExpress에서 좋아하는 제품을 구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