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콘 유형들
1.Wii 클래식 컨트롤러 PRO
'프로컨'이라고는 잘 안 부르지만 닌텐도 발매기기 사상 최초로 'PRO'가 붙은 컨트롤러. 일반 Wii 클래식 컨트롤러에 그립이 추가된 형태로, ZL/ZR버튼 위치가 L/R버튼 밑으로 옮겨졌고, L/R버튼이 아날로그 트리거에서 디지털 버튼으로 바뀌었습니다. 사실 PRO 여부를 불문하고, Wii 리모컨과 달리 왕도적인 조작을 지원한 클래식 컨트롤러 시리즈 전체가 Wii 때 당시 지금의 프로컨 포지션에 있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프로컨 2종류와 비교하면 아날로그 스틱이 모두 아래에 있고 진동 기능이 없으며, Wii 리모컨과 유선 연결이 필요하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또 아날로그 스틱은 기둥이 닿는 부분이 8방향으로 각져있으며, 버튼처럼 누를 수 없는 사양입니다. 십자버튼이 손에 닿기 쉬워서 2D 게임이나 패미컴, 슈퍼 패미컴 등 버추얼 콘솔의 플레이에 적합합니다. NES/SNES 클래식 에디션이나 미니 슈퍼 패미컴에도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Wii U PRO 컨트롤러
최초로 유저들에게 '프로컨'이라 불린 Wii U의 무선 컨트롤러. 조작부가 Wii U GamePad의 조작부와 일치하며 진동을 지원하고, 스틱, 버튼 조작을 제외한 자이로 센서, NFC 기능 등은 모두 빠져있습니다. 그래서 스플래툰 유저들은 상당히 멍청한 꼴로 게임을 해야 했다 스위치 프로컨과 비교하면 기능이 적지만, 플레이에 지장을 주는 결함이 특별히 보고된 적이 없을 정도로 품질이 양호합니다.
다른 컨트롤러와 비교하면 양쪽 스틱 모두 위에 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R스틱을 조준에 사용하는 게임에 적합하지만 정작 나온 게임이 비교적 적다는 것이 문제. 또한 Wii U가 게임패드의 기믹을 많이 사용하는 탓에 프로컨 자체만으로 즐길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되어 있기도 합니다.
3.Nintendo Switch Pro 컨트롤러
Nintendo Switch의 컨트롤러. 그립에 장착한 조이콘의 구조를 단일 컨트롤러로 최적화시킨 형태입니다. 최초의 프로컨은 아니지만 Nintendo Switch의 인지도가 높기 때문에 2022년 현재 프로컨이나 프로콘이라고 하면 보통 이것을 지칭합니다.
닌텐도 스위치 프로콘 : 연결
닌텐도 스위치와 프로콘은 유선, 무선 모두를 통해서 초기 연결을 잡을 수 있고, 한번 연결되면 프로콘의 홈버튼을 사용해서 간단하게 스위치를 켜고 끌 수 있게 됩니다. 대충하면 연결됨
유선 연결 :
1. 거치대에 연결된 상태로 닌텐도 스위치를 켭니다.
2. 동봉된 USB 케이블을 거치대 왼쪽 측면에 있는 포트에 연결하고 반대쪽을 프로콘에 이어줍니다.
3. 움직여보세요. 연결됨<끝>
무선연결 :
1. 닌텐도 스위치의 초기 화면에서 [컨트롤러]로 들어가 [컨트롤러 찾기]를 누릅니다.
2. 프로콘 위쪽의 연결버튼을 누르고 L,R버튼을 눌러 신호를 보냅니다.
3. 컨트롤러가 인식되었다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끝>
정상적으로 인식된 프로콘은 위의 이미지의 왼쪽 아래와 같이 스위치의 기본화면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AliExpress에서 프로콘 부품 구매하기!
프로콘 부품에 관심이 있으시면 사진을 클릭하여 자세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 주문을 완료하기 전에 잠시 시간을 내어 쿠폰을 검토하면 프로콘 부품 찾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훨씬 더 절약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주저하지 말고 AliExpress에서 좋아하는 제품을 구입하세요!